본문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YETTEO FOLK MUSEUM
민화그리기
Education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민화는 넓게 보면 한국화(韓國畵)를 말하지만 좁게 보면 실용회화를 말한다. 민화는 무명성, 실용성, 공예성,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각 나라마다 고유한 신앙과 생활풍속 및 민족의 미감을 보여주는 소박한 그림이다.
민중의 즐거움, 슬픔, 삶, 죽음, 기쁨, 사랑, 미움, 자연의 아름다움 등 가시적으로 조형된 그림으로 순수하고 자유로우며 서민들의 미의식과 정서를 반영한 그림이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민화의 특징YETTEO FOLK MUSEU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텍스트기본스타일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장식성
사랑방에는 책거리, 문자도, 수렵도, 호랑이그림을 안방에는 화사한 화훼도, 화조도, 어해도를 혼례의 신방에는 모란병풍, 화조도를 배치한다. 수연(壽宴)과 회혼례에는 평생도, 십장생 그림 등을 배치한다.
- 문살과 창호지에 다양한 장식의 문양, 그림을 붙여 잔잔하고 은은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다락문, 벽에는 산수화를 붙였다. 문배 그림, 벽 장식에도 민화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민화는 종이뿐 아니라 꽃가마 덮개의 호피도나 몸체에도 조각했고, 널빤지, 대나무, 도자기, 가구, 문방구, 돗자리 등 의식주와 관련한 모든 곳에 사용되었다.
- 토속신앙과 세계관
민화는 상징성을 부여하여 실용성을 강조하고, 시대에 따라 문화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민화가 그려진 시대의 시대상의 알 수 있는 중요한 척도이다.
- 주술적 신앙
민화는 주술적 효과를 지닌 매개체로 재앙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해 주고 소원을 들어주며, 벽사구복 사상이 어울린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토착적인 종교와 결합되어 주술적인 의미가 부여된 것으로 주로 호랑이그림을 많이 그렸다.
- 감수성의 표현
민화는 서민의 집단적인 미적 체험, 세계관을 자연스럽고 원초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생활의 필요성과 공동 소유의 쾌감을 바탕으로 감상하려고 즐겼던 그림이다.
- 모방성
문인화, 도화서 화공의 그림을 철저하게 모방하여 일정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그리지만 다양한 특징을 갖추고 있다.
위・아래
삭제
복제
복제전송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
수정
링크걸기
링크해제